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위한 필수 통장, 청년도약계좌가 더욱 강력한 혜택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특히 정부 기여금 확대, 비과세 혜택, 부분 인출 가능 등의 변화가 예정되어 있어 오산시 청년들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할 정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청년도약계좌의 달라진 점과 4월 신청 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시간이 없다면 아래 '바로가기'를 이용하세요.▼

 

 

 

4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및 일정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아이엠뱅크, 광주, 전북, 경남은행)의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 개설이 진행되는데요, 아래 표를 통해 4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일정을 확인하세요.

구분 가입신청기간 계좌개설기간
3월가입자 3월4일~3월14일 1인가구 : 3월20일~4월11일
2인이상 가구: 3월31일~4월11일
4월 가입자 4월1일~4월11일 1인가구: 4얼17일~5월 9일
2인가구 : 4월 28일~5월9일

 

 

청년도약계좌신청 바로가기

청년들은 4월 1일 ~ 4월 11일까지 가입 신청을 마쳐야 하며, 계좌 개설 일정도 놓치지 마세요!

 

2025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혜택

 

올해부터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의 핵심 혜택을 살펴볼까요?

✅ 정부 기여금 확대 → 월 최대 33,000원 지급 2025년부터 정부 기여금 한도가 증가하여 청년들에게 더 많은 지원이 제공됩니다.

 

개인소득(연 소득 기준) 기존 최대 기여금 2025년 최대 기여금
2400만원 이하 24,000원 33000원 (+9,000원)
2400만원 초과~ 3600만원 이하 23,000원 29,000원 (+6,000원)
3600만원 초과~ 4800만원 이하 22,000원 25,000원 (+3,000원)
4800만원 초과~ 6000만원 이하 21,000원 21,000원 (동일)

 

 

👉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매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33,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 기여금 일부 지원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으로 인해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 혜택 및 기여금 일부(60%)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 시에도 기여금 60% 지급

✅ 혼인, 출산 등의 사유로 해지할 경우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유지

 

👉 최소 3년은 유지하면 절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신중한 선택이 필요합니다.

성실 납입 시 신용평가 가점 부여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하면 신용평가 점수를 올릴 수 있는 혜택이 추가되었습니다.

 

✅ 2년 이상 가입 +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5~10점 가산

✅ KCB 및 NICE 신용평가 반영

 

👉 성실하게 납입만 해도 신용점수를 높일 수 있어 금융 거래에 유리해집니다.

2년 이상 유지 시 부분 인출 가능

기존 청년도약계좌는 중도해지가 필요했지만, 2025년부터는 부분 인출 기능이 도입됩니다.

 

✅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원금의 최대 40%까지 인출 가능

✅ 급하게 자금이 필요할 때 해지 없이 일부 인출 가능

✅ 2025년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

 

👉 갑자기 돈이 필요할 경우 일부 인출이 가능해져 유연한 자산 운용이 가능합니다.

청년이라면 꼭 신청해야 할 청년도약계좌!

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높은 금리, 정부 지원 확대, 비과세 혜택, 신용평가 가점, 부분 인출 가능 등의 변화로 더욱 매력적인 금융 상품이 되었습니다.

 

청년이라면 4월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말고 혜택을 꼭 챙기세요!

✅ 4월 1일 ~ 4월 11일 신청 필수

✅ 소득 구간별 최대 기여금 확인

✅ 최소 3년 유지하면 비과세 혜택 제공

✅ 신용점수 가점 및 부분 인출 기능 활용 가능

 

📌 청년도약계좌 신청을 고민하고 계셨다면 지금이 바로 가입할 때입니다!

 

FAQ (자주묻는질문)

청년도약계좌 매달마다 가입 열리는 건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가입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 매월 정해진 기간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혹시 청년도약계좌는 한 번 밖에 가입 못하나요?

네, 동시에 여러개 안되고 1인 계좌입니다

군입대를 앞두고 있는데 청년도약계좌 정지같은게 가능한가요

군 입대 후 납입이 어려운 경우, 자동이체를 해지하거나 해지 후 재가입 가능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전국 봄꽃축제 일정 총정리 – 어디로 떠나볼까?

어느덧 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하지만 올봄은 매서운 꽃샘추위 덕분에 봄꽃 개화 시기가 예년보다 살짝 늦어질 전망이라고 해요.그래도 다행히 기다리고 기다리던 봄꽃 축제는 전국에서 본격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1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2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3